사업

온라인 통신판매업 사업자라면 숨만쉬어도 나가는 고정 비용 2가지

파란사장 2025. 2. 6. 14:10

휴대폰 알림으로 온라인 사업자니까 돈내라고 문자가 왔다.

 

한개는 통신판매업으로 사업자를 냈다면 나오는 면허비이고, 나머지 한개는...

아마 쇼핑몰 하는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을 수도 있고, 아예 모를수도 있을 거라 생각한다.

 

과연 어떤 비용일까!?

나 역시 매년 이 비용을 낼때마다 뭐였지하면서 까먹어서, 까먹지 않기위해 글로 작성해 보려한다.

 




 

[목차여기]

 

통신판매 업자라면 반드시 내야하는 비용 2가지

첫 번째, 통신판매업 면허비

두 번째, 수입식품등 인터넷 구매대행업 면허비

 

두번째는 필수는 아니지만, 식기류를 별도 인증없이 판매가 가능해지는 사기적인 자격증인데 개인적으로 온라인 사업한다면 받아 놓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이 자격증을 별도로 구매대행하는 사람만 받는다는 편견보다는 사입 혹은 국내위탁으로 판매하더라도 사업이 안정화되기 전까지 파이프라인이라 생각하고 구매대행과 같이 진행한다면 훨씬 더 안정적으로 사업 운영이 가능하니까 말이다.

 

내 생각은 필수라 생각하여 고정비용으로 집어넣긴 했다 ㅇㅇ

본인이 아니라 생각하면 안하면 그만이니까 말이다.

 

1.통신판매업 면허세

 

온라인-통신판매업자-쇼핑몰-고정비용-면허비-면허세

 

온라인 사업한다면, 대부분 통신판매업은 무조건 받기 때문에 매년 면허비 납부하는걸 어느정도 예측 가능하기에 일말에 의심도 없이 바로 납부 완료!

 

근데 통신판매업 면허비를 냈는데 납부할게 하나가 더 남아있는게 아니겠는가?

 

순간 오류인줄 알고, 뭐 하루 정도 지나면 사라지겠거니 하고 냅뒀는데 담날에도 납부하라고 그대로 남아있음;; 

 

 

2.수입식품등 인터넷 구매 대행업

 

온라인-통신판매업자-쇼핑몰-고정비용-수입식품등-인터넷구매대행업-식기류판매권한-면허세

 

바로바로 납부 안된 그녀석의 정체는!?

"수입식품등 인터넷 구매 대행업" 이라는 자격증이라고 해야하나.. 면허라고 해야하나..둘다 맞는 말인데 편의상 면허라고 하겠다.

 

암튼 요녀석을 납부해야 나의 경우는 국민비서에서 납부하라고 더 이상 독촉이 오지 않았다.

 

솔직히 구매대행하면서 처음 알게된 면허기도 하고, 매년 내가 식기류를 판매할 수 있는건 이 자격증 때문인데 23년도에 처음 면허의 존재를 알게되어서 아직까지 나에게는 많이 낯설다ㅎㅎ

 




 

나의 온라인 사업 고정비용 합계

면허 비용
통신 판매업 40,000원
수입식품등 인터넷 구매대행업  40,000원
총합계 80,000원

 

총 면허 비용으로는 8만원을 납부하였다.

심지어 네이버페이로 결제했다고 500원 깎아주더라 ㅋㅋ 종이고지서 쓰는 사람들은 40,500원 내야하는거임

 

확실히 종이 고지서는 관리하기도 귀찮고 처리하기도 귀찮으니 사전에 국민비서 활용해서 자신일 잘쓰는 네이버페이 같은거 연동해놓으면 카드간편 결제가 되기때문에 세상편하다 

 

종이고지서는 계좌이체해야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어우..생각만해도 귀차니즘이 몰려온다.

요새는 종이 고지서에도 QR코드가 삽입돼있긴하나 그래도 굳이 선택하자면 인터넷 납부가 최고지^^